본문 바로가기
728x90

정보 공유/공부44

전기기사 실기 2007년 제 1회 단답정리 - 60일 반복학습 19일차 전기기사 실기 2007년 제1회 단답 1. 전원에 고주파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부하설비의 과열 및 이상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고조파 전류가 발생하는 주원인과 그 대책을 각각 3가지씩 쓰시오. (1) 고조파 전류의 발생원인 (2) 대책 답: 1. ① 변압기, 전동기 등의 여자 전류 ② Converter, Inverter, Chopper 등의 전력 변환 장치 ③ 전기로, 아크로 등 2. ① 전력 변환 장치의 pulse 수를 크게 한다. ② 고조파 필터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③ 변압기 결선에서 △결선을 채용하여 고조파 순환회로를 구성하여 외부에 고조파가 나타나지 않도록 한다. 2. 유도전동기를 정·역 운전할 때, 정회전 전자접촉기와 역회전 전자접촉기가 동시에 작동하지 못하도록 보조회로에서 .. 2021. 7. 15.
전기기사 실기 2006년 제 3회 단답정리 - 60일 반복학습 18일차 전기기사 실기 2006년 제3회 단답 1. 전동기를 운전할 때 Y-△ 기동에 대한 기동 및 운전에 대한 조작 요령을 설명하시오. Y결선으로 기동한 후 타이머 설정 시간이 지나면 △결선으로 운전한다. 이 때 Y와 △는 동신투입이 되어서는 안된다. 2. Y-△기동 시와 전전압 기동 시의 기동 전류를 비교 설명하시오. Y-△ 기동 전류는 전전압 기동 전류의 1/3배이다. 3. 계기용 변압기 1차측 및 2차측에 퓨즈를 부착하는지 여부를 밝히고, 퓨즈를 부착하는 경우에 그 이유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여부 : 이유 : 답: 1. 여부 : 1차측 및 2차측에 부착한다. 2. 이유 : 계기용 변압기 2차 부하의 단락 및 과부하 또는 계기용 변압기 단락시 퓨즈가 차단되어 사고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 4. UPS 장치는 어.. 2021. 7. 14.
전기기사 실기 2006년 제 2회 단답정리 - 60일 반복학습 17일차 전기기사 실기 2006년 제1회 단답 1. MOF의 우리말 명칭과 그 용도를 쓰시오. (1) 명칭 : 전력 수급용 계기용 변성기 (2) 용도 : 전력량을 적산하기 위하여 고전압과 대전류를 저전압과 소전류로 변성 2. 선로에서 발생하는 고조파가 전기설비에 미치는 장해를 4가지만 설명하시오. ① 전력용 기기의 과열 및 소손 ② 3상 4선식 회로의 중성선 과열 ③ 통신선의 유도장해 ④ 보호계전기의 오·부동작 3. 자가용 전기 설비의 중요 검사(시험) 사항을 3가지만 쓰시오. ① 절연 저항 시험 ② 접지 저항 시험 ③ 계전기 동작 시험 4. 변압기를 전력 계통에 투입할 때 여자 돌입 전류에 의한 차동 계전기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차동 계전기의 종류(또는 방식)를 한 가지만 쓰시오. 감조저하법 5... 2021. 7. 13.
전기기사 실기 2006년 제 1회 단답정리 - 60일 반복학습 16일차 전기기사 실기 2006년 제1회 단답 1. 수전설비에 있어서 계통의 각 점에 사고시 흐르는 단락 전류의 값을 정확하게 파악하는것이 수전설비의 보호 방식을 검토하는 데 아주 중요하다. 단락 전류를 계산하는 것은 주로 어떤 요소에 적용하고자 하는 것인지 그 적용 요소에 대하여 3가지만 설명하시오. ① 차단기의 차단용량 결정 ② 보호계전기의 정정 ③ 기기에 가해지는 전자력의 추정 2. 인입구 장치에서 심야 전력 기기의 배선 공사 방법으로는 어떤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한 방법을 4가지만 쓰시오. ① 금속관 공사 ② 케이블 공사 ③ 합성 수지관 공사 ④ 가요 전선관 공사 3. 고압 회로용 진상콘덴서 설비의 보호장치에 사용되는 계전기를 3가지 쓰시오. ① 과전압 계전기 ② 저전압 계전기 ③ 과전류 계전기.. 2021. 7. 12.
전기기사 실기 2005년 제 3회 단답정리 - 60일 반복학습 15일차 전기기사 실기 2005년 제3회 단답 1. 조명 설비의 깜박임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조치는 다음의 경우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1) 백열전등의 경우 (2) 3상 전원인 경우 (3) 전구가 2개씩인 방전등 기구 답: 1. 직류를 사용하여 점등한다. 2. 전체 램프를 1/3씩 3군으로 나누어 각 군의 위상이 120º가 되도록 접속하고 개개의 빛을 혼합한다. 3. 2등용으로 하나는 콘덴서, 다른 하나는 코일을 설치하여 위상차를 발생시켜 점등한다. 2. 저압,고압 및 특고압 수전의 3상 3선식 또는 3상 4선식에서 불평형 부하의 한도는 단상 접속 부하로 계산하여 설비 불평형률을 몇 [%] 이하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가? 30[%] 이하 3. 만일 주파수 60[Hz]에 사용하는 형광방전등을 50[Hz]에서 .. 2021. 7. 11.
전기기사 실기 2005년 제 2회 단답정리 - 60일 반복학습 14일차 전기기사 실기 2005년 제2회 단답 1. 변압기 명판에 표시되어 있는 OA/FA의 뜻을 설명하시오. OA : 유입자냉식 FA : 유입 풍냉식 2. ULTC의 구조상의 종류 2가지를 쓰시오. ① 병렬 구분식 ② 단일 회로식 3. 전력계통의 발전기, 변압기 등의 증설이나 송전선의 신·증설로 인하여 단락·지락전류가 증가하여 송변전 기기에의 손상이 증대되고, 부근에 있는 통신선의 유도장해가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예상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력계통의 단락용량의 경감 대책을 세워야 한다. 이 대책을 3가지만 쓰시오. ① 고 임피던스 기기를 채택한다. ② 모선계통을 분리 운용한다. ③ 한류 리액터를 설치한다. 4. Y-△로 결선한 주변압기의 보호로 비율차동계전기를 사용한다면 CT의 결선은 .. 2021. 7. 10.
전기기사 실기 2005년 제 1회 단답정리 - 60일 반복학습 13일차 전기기사 실기 2005년 제1회 단답 1. 교류용 적산전력계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잠동(creeping) 현상에 대하여 설명하고 잠동을 막기 위한 유효한 방법을 2가지만 쓰시오. (2) 적산전력계가 구비해야 할 특성 5가지만 쓰시오. 답: 1. ① 잠동 : 무부하 상태에서 정격 주파수 및 정격 전압의 110[%]를 인가하여 계기의 원판이 1회전 이상 회전하는 현상 ② 방지대책 : (1) 원판에 작은 구멍을 뚫는다 (2) 원판에 작은 철편을 붙인다. 2. 구비해야 할 특성 ① 옥내 및 옥외에 설치가 적당한 것 ② 온도나 주파수 변화에 보상이 되도록할 것 ③ 기계적 강도가 클 것 ④ 부하특성이 좋을 것 ⑤ 과부하 내량이 클 것 2. 도로 조명 설계에 있어서 성능상 고려하여야 할 중요한 사.. 2021. 7. 9.
전기기사 실기 2004년 제 3회 단답정리 - 60일 반복학습 12일차 전기기사 실기 2004년 제3회 단답 1. 단상 유도 전동기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기동 방식 4가지만 쓰시오. (2) 분상 기동형 단상 유도 전동기의 회전 방향을 바꾸려면 어떻게 하면 되는가? (3) 단상 유도 전동기의 절연을 E종 절연물로 하였을 경우 허용 최고 온도는 몇[ºC]인가? 답: 1. ① 반발 기동형 ② 콘덴서 기동형 ③ 분상 기동형 ④ 세이딩 코일형 2. 기동권선의 접속을 반대로 바꾸어 준다. 3. 120[ºC] 2. 저압,고압 및 특고압 수전의 3상 3선식 또는 3상 4선식에서 불평형 부하의 한도는 단상 접속 부하로 계산하여 설비 불평형률을 몇 [%] 이하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가? 30[%] 이하 3. "2" 항 문제의 제한 원칙에 따르지 않아도 되는 경우를 2가.. 2021. 7. 8.
728x90